티스토리

nota's story
검색하기

블로그 홈

nota's story

nota.tistory.com/m

Rho 님의 블로그입니다.

구독자
3
방명록 방문하기

주요 글 목록

  • [리눅스] 파일 크기 기준으로 찾아서 삭제하기(find -size / rm 이용) 예전에 포스팅 했던 [리눅스] 파일 개수 구하기(find, wc 이용) 글에서, find 명령어를 이용해 이름 기준으로 파일을 검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 이번에는 파일 크기를 기준으로 검색하고, 그리고 검색된 결과를 바로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. 리눅스 콘솔에서 find --help 명령어를 쳐보면 아래와 같이 find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. 아래 설명에서 굵게 처리한 부분을 보면, 힌트를 얻을 수 있다. # find -- help 사용법 : find [경로...] [수식] default path is the current directory; default expression is -printexpression may consist of: operators, options, tests, and act.. 공감수 26 댓글수 1 2014. 9. 23.
  • [Linux] 리눅스 rsync 설정 방법 리눅스에서 다량의 파일들을 전송/수신하고, 데이터 증분치에 대한 반영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rsync가 아닐까 생각한다.(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.) rsync 서버 및 클라이언트 설정 방법을 정리해본다. 여기서는 192.168.123.10에 있는 데이터를 192.168.123.11로 가져가는 예시를 들어본다. rsync 서버 설정 1) rsync 패키지 확인# rpm -qa | grep rsync ** 설치가 안 되어있을 경우# yum install rsync rsync 서버 설정 2) xinetd 패키지 확인# rpm -qa | grep xinetd ** 설치가 안 되어있을 경우# yum install xinetd rsync 서버 설정 3) rsnyc 사용 설정# vi.. 공감수 19 댓글수 0 2013. 12. 3.
  • 솔라리스(SunOS) inode 확인 방법 유닉스 계열의 OS를 사용하다 보면 분명 디스크 공간은 여유가 있는데 디스크에 쓰기가 제대로 되지 않을 때가 가끔 있다. 이럴 때는 inode가 100% 사용 중인지를 확인해봐야 하는데, 솔라리스(SunOS)에서 inode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 1. SunOS 4.x 일 때# /bin/df -i 2. SunOS 2.x 일 때# /usr/bin/df -F utf -o -i ** 참고로 inode는 유닉스 계열의 파일스시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로, 파일이나 디렉토리 구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. 디스크 파티션을 나눌 때 각 파티션 별로 inode를 설정할 수 있다. 그리고 실제 운용 중인 서버에서 특정 파티션의 inode가 100%가 된다면, 해당 파티션의 inode설정을 바꾸거나 새로운 .. 공감수 6 댓글수 0 2013. 9. 13.
  • [AIX] sendmail 서비스 중지 방법 & 부팅시 서비스 실행 설정 AIX 서버를 사용하다 보면, 25번 포트를 사용하는 메일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리눅스의 sendmail 서비스가 이미 떠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. 1. AIX에서 sendmail 서비스 중지 방법 # smitty - Processes & Subsystems > Subsystems > Stop Subsystem > Stop & Single Subsystem - Subsystem의 PROCESS ID 입력 란에서 - sendmail 선택 후 2. AIX에서 부팅 시 sendmail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 # vi /etc/rc.tcpip start /usr/lib/sendmail "$src_running" "-bd -q${qpi}" -> #start /usr.. 공감수 4 댓글수 0 2013. 8. 24.
  • [리눅스] 시스템 환경변수 등록 : .bash_profile 리눅스에서 시스템 환경변수를 등록하는 방법은, 환경변수의 종류나 읽어들이는 시점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고 있다. 여기서는, 특정 실행파일을 더 쉽게 실행하기 위해 .bash_profile에 환경변수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간단히 다룬다. 여기서 다루는 방법이 필요한 경우는, 특정 실행파일을 손쉽게 실행하고 싶을 때, 예를 들어 /usr/app/mysql 에 mysql가 설치되어있다고 해보자. 이때 mysql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# /usr/app/mysql/bin/mysql 이런식으로 실행을 해야 한다. 그런데 이를 단순히 # mysql 이라고만 입력해도 실행이 되게 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환경변수를 등록해주면 된다. # cd ($HOME 경로로 이동) # vi .bash_profile.. 공감수 7 댓글수 0 2013. 8. 23.
  • 솔라리스 프로세스(ps) full 내용 확인 방법 리눅스, 유닉스 계열의 서버에서 특정 프로세스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. # ps -ef | grep [프로세스명] ex. ps -ef | grep httpd : 아파치 프로세스 확인 ps -ef | grep mysql : MySQL 프로세스 확인 그런데 솔라리스 등의 OS에서는 프로세스 내용이 잘려서, 확인하고 싶은 경로나 설정 등을 확인하지 못할 때가 있다. 그럴 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면 된다. # /usr/ucb/ps -auxww | grep [프로세스명] ex. /usr/ucb/ps -auxww | grep httpd : 아파치 프로세스 확인 /usr/ucb/ps -auxww | grep mysql : MySQL 프로세스 확인 공감수 4 댓글수 0 2013. 8. 20.
  • [리눅스] 파일 개수 구하기(find, wc 이용) 리눅스 OS를 서버로 사용할 경우, 특정 종류 혹은 모든 파일의 개수를 구해야 할 경우가 있다. 이때 사용되는 명령어를 간단히 정리해본다. 결론적으로 find와 wc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, 우선 이 두 명령어가 어떤 명령어인지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본다. 1. find 명령어 콘솔에서 find --help 라고 쳐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출력된다. 사용법: find [경로...] [수식]기본 경로는 현재 디렉토리입니다; 기본 수식은 -print입니다수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:연산자(감소하는 우선순위; 다른 것이 주어지지 않으면 -and가 묵시적으로 사용됨) ( EXPR ) | EXPR -not EXPR EXPR1 -a EXPR2 EXPR1 -and EXPR2 EXPR1 -o EXPR2 E.. 공감수 14 댓글수 0 2013. 5. 23.
  • [리눅스] 리눅스 tar, gz 압축 및 해제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, tar 혹은 tar.gz로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어야 할 경우가 자주 생긴다. 이를 처리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tar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, tar 명령어도 여러가지 옵션이 있지만 각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기 보단,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패턴만 정리한다. 1. tar로 압축하기> tar -cvf [파일명.tar] [폴더명] ex) abc라는 폴더를 aaa.tar로 압축하고자 한다면 > tar -cvf aaa.tar abc 2. tar 압축 풀기> tar -xvf [파일명.tar] ex) aaa.tar라는 tar파일 압축을 풀고자 한다면 > tar -xvf aaa.tar 3. tar.gz로 압축하기> tar -zcvf [파일명.tar.gz] [폴더명] ex) abc라는 폴.. 공감수 274 댓글수 36 2013. 5. 8.
  • [리눅스] 리눅스 서버 부팅 시각 확인 리눅스 서버 부팅시각 확인 방법 1. last 로그 확인 > last reboot 리눅스 서버 부팅시각 확인 방법 2. dmesg 로그 업데이트 시각 확인 > ll /var/log/dmesg 이 외의 자세한 내용은 /var/log 밑에서 찾아보면... 공감수 3 댓글수 0 2013. 4. 15.
  • [리눅스(Linux)] 크론탭(crontab) 설정 방법 현재 설정된 크론탭 조회 # crontab -l 크론탭 추가/수정 # crontab -e (이후 화면에서 vi편집기에서 처럼 편집하면 된다.) 1번필드 : 시간(분)2번필드 : 시간(시간)3번필드 : 일자4번필드 : 월5번필드 : 요일(0:일요일, 1:월요일, 2:화요일….)6번필드 : 실행할 명령이나 스크립트 00 02 * * * /usr/local/bin/test.sh >> /test.log: 매일 02시에 /usr/local/bin/test.sh를 실행하고, 해당 로그를 /test.log에 저장한다. 00 02 * * 6 /usr/local/bin/test.sh: 매주 토요일 02시에 /usr/local/bin/test.sh를 실행한다. 공감수 3 댓글수 0 2013. 4. 9.
  • [리눅스] 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에서 CPU 정보 및 CPU 코어개수, 물리 CPU 수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이다. 결론적으로 /proc/cpuinfo 에 모든 정보가 나와있지만, 개수를 확인하고 싶은데 일일이 찾아보기 귀찮을 땐 1~3번 참고. 0. CPU 정보 확인 > cat /proc/cpuinfo 1. CPU 코어 전체 개수 확인 > grep -c processor /proc/cpuinfo 2. 물리 CPU 수 확인 > grep "physical id" /proc/cpuinfo | sort -u | wc -l 3. CPU당 물리 코어 수 확인 > grep "cpu cores" /proc/cpuinfo | tail -1 공감수 72 댓글수 1 2013. 1. 24.
  • [리눅스] 리눅스 버전 확인(OS/Apache/Tomcat/MySQL/JAVA)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, 서버와 관련된 보고서 작성 혹은 검색 등등을 위해 버전을 알아봐야 할 때가 종종 있다. 맨날 까먹어서 간단히 정리! 1. 리눅스 OS 버전 확인 콘솔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사용 중인 OS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. > uname -a 혹은 아래와 같이 입력해도 확인할 수 있다. > cat /etc/issue 위 2개 결과가 약간 다른걸 볼 수 있는데, 전자는 Linux 자체의 버전이 나오고, 후자는 CentOS인지 Red Hat인지 등이 나온다. 2. 아파치(Apache) 버전 확인 콘솔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사용 중인 Apache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. > cd [아파치 경로] > cd bin > ./httpd -v 즉, 아파치 경로의 bin 폴더로 들어가서.. 공감수 14 댓글수 1 2013. 1. 12.
  • [리눅스]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 정리 아직도 나에게 멀기만 한 리눅스..ㅠ 아직 아는 명령어는 몇 개 없지만, 다시 공부도 해볼 겸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들을 정리해본다. (혹시 틀린 내용이나 추가해야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부탁해요) 리눅스 명령어 1. 경로 이동 cd [경로] - 해당 경로로 이동한다. - "."은 현재 경로를, ".."은 상위 경로를 의미한다. - 상대경로 혹은 절대경로를 이용해 이동 가능하다. - ex) cd / : 루트 경로로 이동. cd conf : 현 위치의 conf 폴더로 이동 cd .. : 상위 경로로 이동. cd ../conf : 상위 경로의 conf 폴더로 이동 cd /apache/conf : 루트 경로의 apache폴더 내의 conf 폴더로 이동 pwd - 현 위치를 나타낸다. mkdir [폴더명] ** .. 공감수 16 댓글수 1 2012. 11. 22.
    문의안내
    • 티스토리
    • 로그인
    • 고객센터

   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.

    © Kakao Corp.